“블로그 강의팔이 영상”이 사기라고 불리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 때문입니다. 이들은 대부분 허위 과장, 심리 조작, 실질적인 가치 없는 정보를 비싼 값에 파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1. 수익 인증 조작
• 조작된 캡처나 편집된 영상으로 수익을 부풀려 보여줍니다.
• 통장 잔고, 애드센스 수익 등을 캡처로 보여주며 “이 방법만 따라 하면 된다”고 말하지만, 실상은 그 수익이 블로그가 아닌 강의나 제휴마케팅 등 다른 경로에서 발생한 것일 수 있습니다.
⸻
2. 희망고문식 말투
• “이 방법만 알면 누구나 월 500 가능”, “전업 주부도 하루 1시간으로 가능” 같은 과장된 문구로 대중을 유혹합니다.
• 누구에게나 적용되지 않는 사례를 일반화해 말합니다.
⸻
3. 진짜 정보는 강의에 있다는 방식
• 유튜브 영상에서는 겉핥기식 정보만 제공하고, “진짜 핵심은 강의에 있음”이라고 유도합니다.
• 이 강의의 내용은 인터넷 검색이나 무료 강의에서 얻을 수 있는 수준인 경우가 많습니다.
⸻
4. 페이크 후기와 조작된 리뷰
• 자신이 만든 가짜 블로그나 커뮤니티 계정에서 칭찬 후기를 도배하거나, 지인 동원 후기를 올립니다.
• ‘수강생 성공 사례’로 내세운 사람도 실제로는 지인, 알바, 혹은 강의 판매자 본인인 경우도 있습니다.
⸻
5. 기초지식 없는 초보자 노림수
• 블로그, 애드센스, 마케팅 등에 대해 모르는 사람을 대상으로 불안감과 기대감을 동시에 자극합니다.
• 초보자는 정보를 구분할 수 없어 쉽게 속습니다.
⸻
6. 결국 강의가 목적 (수익원은 블로그가 아님)
• 이들이 말하는 블로그 수익은 실제로 블로그 수익이 아니라 강의를 팔아서 나는 수익입니다.
• 이 구조는 다단계와 유사하게 “나처럼 수익 내고 싶지? 그럼 강의 사” 구조입니다.
⸻
7. 지속 불가능한 방법 제시
• 네이버 알고리즘이나 애드센스 정책을 무시한 단기 꼼수나 블랙해트 SEO를 알려주며, “지금 바로 써먹으면 된다”고 합니다.
• 결과적으로 블로그는 저품질로 전락하거나 정지당하게 됩니다.
⸻
8. 환불 불가 및 책임 회피
• 대부분 “디지털 콘텐츠는 환불이 불가합니다”라고 미리 명시하여 소비자 보호법의 허점을 이용합니다.
• 환불 요청 시 “당신이 노력을 안 해서 그런 것”이라며 책임을 돌립니다.
⸻
9. 공포 마케팅
• “지금 안 하면 늦는다”, “이런 기회 다시는 없다”, “네이버 정책이 바뀌면 끝이다” 등 시간 압박을 유도해 충동구매를 유도합니다.
⸻
10. 실체가 불분명한 인물
• 강의자는 실제로 블로그 수익을 내본 적이 없거나, 실명을 숨긴 채 활동합니다.
• 이름, 회사, 실적 등이 투명하지 않거나 검증 불가한 경우가 많습니다.
돈벌기가 쉬울줄아세요? 당장 돈 몇십 몇백만원에 성공을 바란다? 그 생각부터가 썩어빠졌기 때문에 성공을 더욱더 못하는것입니다.
지름길은없습니다...;; 그리고 블로그라는 매체는 애초에 돈을 벌기힘든 구조입니다. 극소수 상위 0.1%만이 월 2-300만원이상 벌 수 있지요.
카테고리 없음
블로그 강의팔이 속지말아야하는 이유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