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최고 외교관은 안토니우스 블링켄 신임 국무장관과의 첫 전화통화에서 (CNN) 양국 관계를 수십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추락시킨 것에 대해 다시 워싱턴에 책임을 뒤집어씌웠고, 중국의 신장 및 홍콩 정책에 대한 국제적 비난을 거부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외교정책 수석보좌관인 양제츠 국무원장은 28일 블링켄과의 통화에서 "미국은 최근의 잘못을 바로잡고, 중국과 협력해 불화, 불화, 상호존중, 상생협력의 정신을 견지해야 한다"고 말했다.중국 외교부가 발표한 성명에 "양 장관은 양측이 상대방의 핵심 이익은 물론 정치적 시스템과 그들 자신이 선택한 발전 경로를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라고 성명은 말했다.
이어 "각각은 각자 내정을 챙기는 데 주력해야 한다. 양 부장은 "중국은 중국적 특성을 지닌 사회주의 노선을 굳건히 내려갈 것이며 누구도 중국 국가의 위대한 회춘을 막을 수 없다"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시절 워싱턴과 베이징의 관계는 통상, 기술, 지역 안보, 인권과 관련된 문제에서 충돌하는 등 종종 골치거리였다. 최근 조 바이든 대통령의 새 정부의 성명은 후퇴하는 방법이 거의 없을 것임을 시사한다. 바이든은 목요일 연설에서 중국을 미국의 "가장 심각한 경쟁자"라고 표현하고 중국의 "인권, 지적재산권, 글로벌 거버넌스에 대한 공격"에 맞설 계획을 설명했다.
중국의 성명에 따르면, 금요일 전화통화에서 양씨는 대만을 포함한 양국간 긴장이 지속되는 주요 원천을 강조했다.
중국은 거의 2400만 명에 이르는 민주주의 섬인 대만에 대한 완전한 주권을 주장하는데, 대만은 70년 넘게 분리 통치되어 왔다. 중국은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대만 주변 군사활동을 강화해 H-6K 폭격기 등 전투기를 여러 차례 대만의 방공식별구역으로 보내면서 중국이 대만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굽히지 않겠다는 미국의 새 행정부에 보내는 직접적인 메시지로 보였다. 미국 해군이 지난 3일 대만해협을 통해 유도미사일 구축함을 파견한 것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 미 군함이 중국과 대만을 가르는 수로를 통과한 것은 처음이다.
양 부장은 블링켄에 대해서도 홍콩 신장 티베트 관련 문제는 중국의 내통이라며 외부 간섭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중국 성명은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이 신장 지역의 위구르 무슬림과 소수민족·종교적 소수민족 집단을 상대로 집단학살을 자행하고 있다고 판단했다고 블링켄 지명자가 밝혔다.
미 국무부는 앞서 최대 200만 명의 위구르인과 다른 이슬람 소수민족 단체 회원들이 이 지역 내 대규모 수용소에 억류된 것으로 추정했다.
블링켄은 이날 미 국무부가 제공한 통화 내용을 낭독하며 미국은 신장, 티베트, 홍콩 등 인권과 민주적 가치를 계속 옹호할 것이라고 강조했으며 미얀마 군사 쿠데타를 규탄하는 데 국제사회에 동참할 것을 중국에 촉구했다.
블링켄은 또 미국이 "대만해협을 포함한 인도-태평양의 안정을 위협하는 조치"에 대해 중국에 책임을 묻기 위해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협력할 것임을 재확인했다고 미국 성명이 밝혔다.